전재호 교수 |
|
주요 경력 2025.3. ~ 현재.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2021.3. ~ 2025. 2. 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조교수 2017.9. ~ 2021.2. 서강대 글로컬한국정치사상연구소 전임연구원 2011.9. ~ 2014.8. 서강대 한국사회기반연구(SSK) 사업단 전임연구원 2010.12. ~ 2011.8.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전임연구원 2007.11. ~ 2010.10.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2004.10. ~ 2007.9.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교수 2001.3. ~ 2004.9. 서강대 사회과학연구소 전임연구원 2000.10. ~ 2001.9.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및보상심의위원회 전문위원 1995.7. ~ 1997.6. Harvard-Yenching Institute, Visiting Fellow 주요 논문 “Animosity toward the Japanese Rising Sun Flag in South Korea: A New Development of Anti-Japanism” PACIFIC FOCUS Vol 39, No 3. 2024.(Co-work with Hyoung-kyu Chey) “한국에서 ‘반일(反日)’ 민족주의 담론의 지속 과정에 관한 연구 : 국사 교과서의 전근대 일본 관계 기사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서강대) 31권 2호. 2023. “한국에서 왜성(倭城)에 대한 인식과 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반일(反日) 민족주의의 역할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67호. 2023. “한국에서 반일(反日) 민족주의의 장기 지속에 관한 연구: 독도 담론과 교과서를 통한 새로운 세대로의 전달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39권 2호. 2023. “1980년‘서울의 봄’의 좌절 요인에 관한 연구 : ‘프라하의 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동국대) 30권 1호. 2022. “한국에서 단일민족 인식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고찰 : ‘혈통중심적’ 사고를 중심으로” 『정치사상연구』28권 2호. 2022. “해방 후 단군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군민족주의의 약화와 국수주의의 확산.” 『한국과 국제정치』37권 4호. 2021. “식민지 건축유산에 대한 인식 변화와 반일 민족주의: 일제 잔재에서 근대문화유산으로.” 『한국과 국제정치』36권 3호. 2020. “한국의 반일(反日) 민족주의 연구: 담론의 변화와 특징.” 『한국과 국제정치』35권 2호. 2019. “2000년대 한국의 '극단적' 민족주의에 관한 비판적 연구: '국수주의 역사학'의 존립 기반을 중심으로.” 『정치사상연구』제25집 1호. 2018. “2000년대 한국 ‘탈민족주의’ 논쟁 연구: 주요 쟁점과 기여.” 『한국과 국제정치』34권 3호. 2018. “한국 민주화 이행에서 김대중의 역할.” 『기억과 전망』 35호. 2016. “북한 인권 문제의 정치사적 의미: 인권 및 반공 담론을 중심으로.” 『기억과 전망』33호. 2015. “2000년대 한국 보수주의의 이념적 특성에 관한 연구: 뉴라이트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제7권 제1호. 2014. “민주화 이후 ‘보수’ 정부의 대북정책 연구: 노태우, 김영삼, 이명박 정부를 중심으로” 『신아세아』 제20권 2호. 2013. “해방 이후 이범석의 정치이념: 민족주의와 반공주의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전북대) 제37집 1호. 2013. “여운형의 정치이념: 민족주의, 공산주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제6권 제1호. 2013. “박정희 정권의 ‘호국영웅만들기’와 전통문화유산정책.” 『역사비평』 99. 2012. “민주화이후 한국 민족주의의 변화: 통일, 북한, 외국인,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5권 1호. 2012. “식민지 시기의 민족주의 연구: 국내 부르주아 우파와 사회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동북아 연구』. 제16권. 2011. “한국 민족주의의 반공 국가주의적 성격에 관한 연구: 식민지 시기 ‘부르주아 우파’와 국가형성 초기 ‘이승만 세력’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전북대). 35집 2호. 2011. “5.16 군사정부의 사회개혁정책: 농어촌고리채정리사업과 재건국민운동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전북대). 34집 2호. 2010.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싼 역사인식 갈등 연구: 한국민족주의의 균열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제26권 3호. 2010. “세계화 시기 한국 재외동포정책의 변화와 쟁점, 그리고 대안: 재외동포법과 이중국적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24권 제2호. 2008. “이주의 세계화에 따른 한국의 외국인 정책 변화.”『한국과 국제정치』. 제23권 제3호. 2007. “미군정기(1945~1948) 한국의 자유주의: 이승만의 ‘반공적’ 자유주의.”『한국철학논집』. 21집. 2007. “김구의 정치이념과 자유주의.” 『신아세아』. 제14집 3호. 2007. “세계화 시대 한국의 정치적 정체성 변화: 반공의식을 중심으로.”『한국정치학회보』. 제40집 제3호. 2006. "Changes in the Korean Identity in the Globalization Era." Korea Focus. Vol. 13, No. 4. 2005. “세계화 시대 한국 정체성의 변화: 국민정체성의 법적 규정과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신아세아』. 제12권 제1호. 2005. “91년 5월 투쟁과 한국민주주의: 실패의 구조적 원인과 그 의미.” 『한국정치학회보』. 제38집 제5호. 2004. “자강론과 자유주의: 식민지 초기(1910~1020년대 초) 신 지식층의 자유주의관.” 『정치사상연구』. 제10집. 제2호. 2004. “세계화 시대 북한과 중국의 민족주의.” 『한국과 국제정치』. 제20권 제3호. 2004. “동학과 자유주의: 서구 사상의 영향에 대한 시론적 고찰.” 『한국사상과 문화』. 제21집. 2003. “세계화 시대 한국과 일본의 민족주의: 지속성과 변화.”『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24집 2호. 2002. “한국민족주의와 반일.”『정치비평』. 제9집. 2002.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 연구: ‘역사의 이용’을 중심으로.”『한국과 국제정치』. 제18집 1호. 2002. “군정기 쿠데타 주도집단의 담론 분석.”『역사비평』. 55호. 2001. 여름. “박정희로부터 역사를 구출하자."『정치비평』. 제7집. 2000. “민족주의와 역사의 이용: 박정희 체제의 전통문화정책."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사회과학연구』(서강대). 제7집. 1998. “박정희 체제의 민족주의: 담론의 변화와 그 원인.”『한국정치학회보』. 제32집. 제4호. 1998. 저서 『민족주의들』. 이매진. 2019.6.25. 『키워드 한국정치사』. 이매진. 2018.9.7. 『박정희 대 박정희: 개혁과 반동 사이 박정희 제자리 찾아주기』. 이매진. 2018.6.25. 『반동적 근대주의자 박정희』. 책세상. 2000. 공저 공진성 외. 『다시 읽는 ‘서구중심주의 비판’』. 까치. 2024. 정용욱 외. 『한국현대사 연구의 쟁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22. 강정인 외.『탈서구중심주의와 그 너머 1』. 후마니타스. 2022. 임지현 외.『역사에서 기억으로: 침묵당한 목소리를 불러내다』. 진실의 힘. 2022. 이철우 외.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푸른역사. 2020. 강정인 외. 『인물로 읽는 현대한국정치사상의 흐름』.아카넷. 2019.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편. 『탈냉전기 동아시아의 민족주의 갈등과 해결』.동북아역사재단. 2018. 서중석 외. 『6월 민주항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7. 민주주의사회연구소. 『부마항쟁의 진실을 찾아서』. 선인. 2016. 전재호 외. 『분단 70년과 대한민국』.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6. 전재호 외. 『한국의 민주주의와 한미관계』.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4. 정근식․이병천 역.『식민지 유산, 국가 형성, 한국 민주주의』. 책세상. 2012. Eun_Jeung Lee, Thomas Frohlich(Hrsg.). Staatsverstandniss in Ostasien(동아시아의 국가사상). Nomos(Germany). 2010. 김경일 외. 『인문학 박물관에서』. 인물과 사상사. 2010.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역. 『한국민주화운동사 2』. 2009. 한국정치학회 편. 『한국의 대통령 리더십과 국가발전』. 2007. 신주백․정근식 외. 『8․15의 기억과 동아시아적 지평』. 선인. 2006. 정영훈 외. 『근현대 한국정치사상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2006. 안병욱 외.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송병헌·엄관용·전재호.『한국학생운동관련문헌해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3. 조희연 편.『국가폭력․민주주의투쟁․역사적 희생』. 함께하는책. 2002. 강정인 외.『민주주의의 한국적 수용』. 책세상. 2002. 이병천․이광일 외. 『20세기 한국의 야만 2』. 일빛. 2001.오기평 편저.『지구화와 정치변화』. 오름. 2000. 학술단체연합회 편.『5․18은 끝났는가: 5․18 민중항쟁과 한국사회의 진로』. 푸른숲. 1999. |